4.1 클라이언트 로드밸런싱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를 구축할 시 로드밸런싱을 고려하는 경우, 쿠버네티스를 사용하거나 전용 네트워크 장비(L4 스위치)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에서는 Netflix Eureka service registry
(이하 Eureka 서비스 레지스트리)와 API 게이트웨이를 구성하여 API 게이트웨이 측에서 로드밸런싱하는 방식을 지원합니다. Eureka 서비스 레지스트리 구성은 API GW 모듈 메뉴얼 (링크)를 참조하십시오.
Eureka 서비스 레지스트리를 구성한 경우, 로드밸런싱을 수행할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모듈의 설정에서 아래 설정값을 구성하여 Eureka 서비스 레지스트리와 연동합니다. (해당 모듈 내 마이크로 서비스의 YAML 파일 수정)
eureka:
client:
enabled: true # Eureka 서비스 레지스트리 사용 설정
service-url:
defaultZone: http://localhost:8888/eureka # Eureka 서비스 레지스트리 주소 설정
Note: 시티데이터허브 모듈이 컨테이너(Docker) 환경으로 배포되는 경우, 마이크로서비스의 yaml 파일 설정에 아래 문구를 추가합니다.
eureka:
instance:
prefer-ip-address: true # Docker 컨테이너의 IP가 아닌 실제 호스트의 IP를 사용하도록 설정
ip-address: 1.1.1.1 # Docker 컨테이너를 구동하는 실제 호스트의 IP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