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2.2.1. 기본 설정 (nifi-env.sh)

2.2.1.1. NiFi home directory 정의

  • 별도 설정이 없을 경우 binary가 압축해제된 디렉토리가 NIFI_HOME으로 지정된다.

    • 수정을 원할 경우

      '압축이 해제된 디렉토리'/bin/nifi-env.sh 파일의 42번째 줄을 수정한다.

    • 기본값

      NIFI_HOME="$(setOrDefault "$NIFI_HOME" "$(cd "$SCRIPT_DIR" && cd .. && pwd)")"

      NIFI_HOME=/home/bigdata/nifi

2.2.1.2. PID 파일 저장 경로 정의

  • '압축이 해제된 디렉토리'/bin/nifi-env.sh 파일의 46번째 줄을 수정한다.

2.2.1.3. log 파일 저장 경로 정의

  • '압축이 해제된 디렉토리'/bin/nifi-env.sh 파일의 50번째 줄을 수정한다.

2.2.1.4. JAVA HOME 설정

  • JDK 혹은 JRE 설정을 참조하여 설정한다.
    • '압축이 해제된 디렉토리'/bin/nifi-env.sh 파일의 26번째 줄을 수정한다.
    • 예시) export JAVA_HOME=/home/java/jdk1.8.0

NiFi설정(bootstrap.conf)

  1. NiFi 어플리케이션 구동 설정

    • 처리하는 데이터가 많을 경우
      • nifi가 구동되는 서버의 사양을 감안하여 수정한다.
        • '압축이 해제된 디렉토리/'conf/bootstrap.conf 파일의 38,39번째 줄을 수정한다.
        • java heap 과관련된 설정으로써 최소 값과 최대 값을 적당히 가감한다.
  2. 그 외 구동 옵션과 관련한 java 옵션 수정

    • '압축이 해제된 디렉토리/'conf/bootstrap.conf 파일의 끝에 추가 한다.
      • java.arg.18='추가하고자 하는 옵션'
      • 옵션을 더 추가하는 경우 변수 번호를 1씩 증가하면서 추가한다.
  3. nifi.properties

    • NiFi 설정 및 튜닝 관련 설정 정의
      • 서비스(UI 접속)를 위한 설정
        • '압축이 해제된 디렉토리/'conf/nifi.properties 파일의 153,154번째 줄을 수정한다.
          • nifi.web.http.host='nifi가 구동되는 서버의 호스트명 또는 IP'
          • nifi.web.http.port='사용하고자 하는 포트'

그 외 설정은 nifi.properties.ref 파일의 주석을 참고하여 수정한다.